잠을 정말 많이 자도 개운하지 않거나, 다음날 피곤하다면 의심해야 할 질병 (수면장애, 불면증, 치료방법, 과면증, 기면증,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오늘은 잠을 많이 자도 개운하지 않거나, 다음날 피곤하다면
의심해야 할 질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밤에 아무리 잠을 많이 자도 다음날 전혀 개운하지 않거나,
혹은 밤에 누워서 잠을 이루기가 힘드신가요?
그렇다면 수면장애를 앓고 있을 지도 모릅니다.
숙면은 하루의 시작이자 우리의 컨디션에 엄청난 영향을 끼칩니다.
40대 입원 환자가 가장 많았던 질병 중에서
수면장애는 무려 8위를 차지하였습니다.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수면 장애'는
이제는 하나의 질병으로 인정받기 시작하면서
엄청난 입원 환자 수가 그것을 입증합니다.
2018년 한 해 동안 입원 환자 수는 562,823명이며
2019년에는 637,328명으로 13% 증가하였으며
남녀 성별 비율은 45 대 55로 비슷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수면장애로 고생하는 환자는 지난 4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무려 40프로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수면장애는 다양한 질환들이 있습니다.
수면장애의 질환 증상들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코골이는 피곤하면 나타나는 아주 흔한 생리 현상입니다.
하지만, 그 증상이 심해지면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수면 무호흡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수면 무호흡증이 하룻밤에 40회 이상 나타난다면
숙면을 취하기 힘들고, 산소 공급이 어려워 다음날
피로감, 무기력증, 두통, 기억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수면 무호흡증이시라면 수면다원검사와 구강 및 비강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환자의 선호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방침을 정합니다.
증상에 따라 수술법과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 수술이 달라집니다.
2. 불면증
불면증은 밤에 잠에 들기 힘들거나, 간신히 잠에 들어도
자주 깨는 것으로 피로감, 졸음, 의욕상실 등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수면장애입니다.
불면증은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스트레스'가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인간의 몸은 생체리듬이 존재합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수면리듬이 깨지기 시작하여 잘못된 수면습관이 생기면
불면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면증은 세 가지 방법을 혼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보편적인데요.
수면 위생, 인지행동 치료, 약물치료라는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특히,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 잠들기 힘든 경우에는
전문의의 처방을 받아 수면제를 복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3. 과면증 및 기면증
과면증은 최소 7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낮에 과하게 졸리다면 과면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기면증은 잠을 잘 수 없는 상황에서도 졸음을 참을 수가 없어
순식간에 잠에 빠져드는 현상입니다.
괴면 증과 기면증 모두 수면장애 질환입니다.
두 질환은 과도한 수면과 관련이 있는데요.
기면증은 약물로 증상을 완화하여 치료가 가능하지만,
낮 동안 쏟아지는 졸음을 줄이기 위해 각성제를 사용합니다.
만약 약물을 복용하더라도 심한 졸음이 나타난다면
20분 내외의 약간의 낮잠을 자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수면은 우리에게 정말 중요한 영향들을 많이 끼칩니다.
수면장애 증상들이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지속된다면
정신과와 같이 관리하는 전문 수면센터 혹은 수면센터에 방문하여
수면다원검사를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수면장애를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생각보다 스트레스가 심한 질환이며,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잠이 보약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많은 수면장애를 가지시는 분들의 소원은
'단 하루만 푹 자고 싶다'
라고 할 정도로 잠은 소중합니다.
수면장애를 겪으신다면, 오늘 하루는 푹 잠들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힘내세요!
구독하기를 누르시면 매일매일 무료로 건강 정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끝까지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일들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건강정보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게를 먹을때는 이것을 피해 먹어야 합니다! 꽃게의 모든것! (꽃게의 효능, 요리법, 부작용, 제철시기, 음식궁합) (0) | 2020.09.08 |
---|---|
새송이 버섯 모든것, 새송이버섯효능과부작용 (새송이 요리, 보관법, 부작용, 제철시기) (0) | 2020.09.05 |
복숭아 모든것, 복숭아 효능과 부작용 / 건강정보TV (구입요령, 보관법, 요리법, 주의사항, 복숭아통조림) (0) | 2020.08.31 |
빨간사과의 잘못된 진실!!! 사과 모든것 (사과 효능, 보관법, 구입요령, 사과 요리법) (0) | 2020.08.31 |
폐암의 모든것! 20년간 암사망률 1위 폐암! (폐암의 5대증상, CT의 정확도, 저렴한 CT) (0) | 2020.08.23 |
댓글